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0

출산 축하금 온라인 신청 방법 ( 부모급여, 양육수당, 첫 만남 외 한번에 신청) 출산 후 모든지원금은 정부24에서 모두 신청가능합니다. (정부 지원 + 지자체 지원) 준비물 : 아이 출생신고 완료 후 주민등록번호 부여 한전 전기료 절감을 위한 고객넘버 (아파트의 경우 추후 관리 사무소에서 신청) 공인, 공동인증성 국민행복카드 지급 받을 계좌정보 (부모 계좌만 가능) 1단계 출산행복 사이트에 접속 정부24홈페이지 -> 서비스 -> 출산행복에 들어가주세요. 아래 링크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https://www.gov.kr/portal/onestopSvc/happyBirth 행복출산 | 원스톱/생애주기/꾸러미 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정부 24에서 행복출산을 누르면 아래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중아부분에 신청으로 .. 2023. 1. 30.
온라인 출생 신고 (5분 소요) 온라인 출생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봅시다. 소요시간은 5~10분 준비물 : 출생증명서 (산부인과에서 발급) 아기 이름 (한자 포함) 공동인증서 또는 공인인증서 1단계 온라인 출생 신고 시스템에 접속 법원 전자 가족 관계 등록 시스템에 접속하여 출생 인터넷 신고를 선택 합니다. https://efamily.scourt.go.kr/index.jsp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ED[2/1] 사이트 내 전체검색 efamily.scourt.go.kr 2단계 출산 병원을 선택 온라인 출생신고를 위한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관한 공의서 제출 (예) 지역을 선택 후 병원명으로 조회 3단계 신고인 정보 입력 후 공인 인증서로 본인 확인 부모 중 한명의 신고인 정보를 입력하고 공인 인증서 또는 공동 인증서로 .. 2023. 1. 30.
직장인 주택임대소득 (월세수익)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는 홈택스에서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 되어야 입력가능합니다. 1. 종합과세(세율 6~42%) vs 분리과세(14%) 선택하자 월세 수익이 2,000만원이 넘으면 종합과세 / 넘지 않으면 분리과세를 선택 2. 분리과세로 신고하는 방법 홈텍스 → 종합소득세 → 종합소득세 → 종합소득세 신고하기로 접속합니다. 아래와 같이 11단계로 진행 됩니다. 각 칸을 체우고 3. 1~2/11단계 아래와 같이 부동산임대업 외의 사업소득, 근로소득을 채크 사업소득 사업장 명세를 입력해 줍니다. 기장의무는 간편장부대상자, 신고유형은 단순경비율을 선택합니다. 3. 3/11단계 2023. 1. 30.
월세 수익 소득신고 주택임대소득 (월세) 과세 기준 주택 수 과세대상 과세대상 아님 1주택 보유 (1주택 - 월세로 임대) (부모님 집에 살거나 월세 전세 살이) 해외주택의 월세 수입 기준시가 9억 초과 주택의 월세 월세 수익 없음 기준시가 9억원 이하 주택의 월세 보증금 및 전세금 2주택 보유 모든 월세 수익 월세 수입이 없음 모든 보증금 및 전세금 3주택 이상 보유 모든 월세 수익 소형 주택의 보증금 전세금 비소형 주택 3택 미만 비소형 주택의 보증금 전세금 합계 3억 이하 주택임대소득 (월세) 세금 모의 계산 국세청 홈텍스에서 세금모의 계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만 쉽게 한달치 매월 100만원의 월세를 받고 있다면... 2023. 1. 30.
반응형